젊었을 때는 아무 이상이 없었거나 특별히 몸에 이상을 느끼지 못하고 지냈다가 점차 나이가 들면서 나도 모르는 사이에 혈압에 이상이 생겨 고민하시거나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고혈압이란 무엇이고 혈압의 정상 수치는 얼마여야 하는가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혈압이란?
고혈압은 동맥의 혈압이 정상 범위를 넘어서는 상태로써 일반적으로 혈압이 수축기 140mmHg, 이완기 90 mmHg 이상인 경우 고혈압으로 판정됩니다. 고혈압은 증상이 거의 없거나 미미하여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심장질환, 뇌졸중, 신부전, 신장 질환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켜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기도 합니다.
혈압정상수치
일반적으로 혈압정상수치는 수축기 120mmHg 미만, 이완기 80mmHg 미만을 의미합니다.
수축기 120~129mmHg, 이완기 80mmHg 미만은 주의 혈압, 130~139mmHg, 이완기 80~89mmHg 범위는 고혈압 전단계로서 관리에 주의를 요합니다.
구분 | 수축기(mmHg) | 이완기(mmHg) | |||
정상 혈압 | 120 미만 | 그리고 | 80 미만 | ||
주의 혈압 | 120~129 | 그리고 | 80 미만 | ||
고혈압 전 단계 | 130~139 | 또는 | 80~89 | ||
고혈압 | 1기 | 140~159 | 또는 | 90~99 | |
2기 | 160 이상 | 또는 | 100 이상 | ||
수축기 단독 고혈압 | 140 이상 | 그리고 | 90 미만 |
집에서 측정하면 낮게 나오는데 병원 진료실에만 가면 혈압이 높게 나오시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를 백의 고혈압이라 칭하며 반대의 경우를 가면 고혈압이라 부릅니다.
진료실에서 140mmHg가 나온다면 가정에서 측정하는 가정혈압은 135mmHg, 일일평균혈압은 130mmHg로 인정되고 있으나 진료실에서 130mmHg 이상 측정된다면 전문의의 조언에 따르시는 것을 적극 추천해 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