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정보

기준중위소득 100%? 150%? 기준중위소득 계산방법

SAMi78 2023. 5. 4.

국민들의 복지 혜택이나 지원을 위해 급여의 기준으로 활용되는 기준중위소득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의미를 몰라서 본인이 혜택의 대상자인지 아닌지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

기준중위소득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이 되는지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기준중위소득 계산방법
기준중위소득 계산방법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이란 여러 가지 복지 혜택 등의 적용 대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하는 가구 소득의 중윗값으로써, 쉽게 말하면 대한민국 국민의 가구 소득을 조사하여 순서대로 나열한 뒤 정확히 중간값을 산출한 것이 중위 소득입니다.

 

매년 8월 1일까지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 다음 해의 기준 중위소득을 결정 및 공표하여 국민들의 각종 혜택에 대한 급여 수급자를 선정하는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2022년/2023년도 기준중위소득

2022년/2023년 기준중위소득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2022년 1,944,812 원 3,260,085 원 4,194,701 원 5,121,080 원 6,024,515 원 6,907,004 원
2023년 2,077,892 원 3,456,155 원 4,434,816 원 5,400,964 원 6,330,688 원 7,227,981 원

 

본인의 소득 수준 등을 통해 사업별 수혜 대상 자가 진단을 원하신다면 바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기준중위소득 계산방법
기준중위소득 계산방법

 

 

기준중위소득 활용 방법

복지 정책들을 소개하는 내용을 보시면 기준중위소득 50%, 150% 이하와 같은 단어들을 접하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초생활수급자 생계 급여 지원 대상의 기준인 기준중위소득 30%는 1인 가구일 경우

1인 가구 중위소득 2,077,892 원 × 30% = 623,368 원이며,

 

기준중위소득 150%의 경우 4인 가구를 예를 들면 5,400,964원 × 150% = 8,101,446 원입니다.

 

 

기준중위소득 계산 방법

자신의 소득이 기준중위소득에서 몇 %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우리나라의 각종 복지 혜택을 확인할 수 있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  [복지서비스] - [국민기초 생활보장]에서 정보 입력하시면 사업별 수혜 대상 여부를 자가진단하실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혜택들을 확인하실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방문해 보시길 권유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대학생, 군인, 공무원도 신청 가능한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조건, 신청방법 알아보기(2023년)

만 19세 ~ 34세 청년들에게 월 최대 30만까지 지원하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시고 많은 혜택 누리시길 바랍니다. 자격조건(지원대상) 청년 내일저축계좌 신

samiadventure.tistory.com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미리 알아보기

소득이 적은 근로자에게 단비와도 같은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신청 방법 미리 알아두고 최대 330만 원의 장려금 받으시도록 신청기간과 신청방법에 대하여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근로장

samiadventure.tistory.com

 

댓글

💲 추천 글